$%name%$님 기업은 현재 리모트 워크를 시행하고 계시나요?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다시 재택근무로 전환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데요.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기업의 55%가 ‘생산성의 차이가 없다’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재택근무가 불필요한 출퇴근 시간 낭비를 줄여주고, 워라밸 실현 등 장점이 있으면서도 직원 간 소통의 어려움과 성과/근태 관리에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었는데요. 그렇다면 리모트 상황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상황에 적합한 성과관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앞으로 5번의 시간동안 재택근무에서 핫한 이슈인 ‘리모트 성과관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2) 리더는 리모트워크 대상자가 다양한 이슈를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과 성과 창출이 가능한 인재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팀장님을 위한 Tip |리모트워크 대상자 선정 기준
1) 업무추진이 가능한 직무인가?
2) 독립적 업무수행이 가능한가?
3) 구성원의 근무태도가 양호한가?
리모트 성과관리가 왜 필요할까
코로나 펜데믹 이후 우리사회는 매우 빠른 속도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대면 상황(이하 리모트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약속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과 직무의 경우‘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고객에게 제공할 제품생산과 서비스 제공 과정에, 설비와 장비 그리고 원재료 등이 중요한 산업의 경우도 로봇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통해 점진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리모트상황에서도‘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약속된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경우, ‘자유로운 삶’과 ‘경제활동’이 가능한 시대를 맞이한 것이죠. 단, ‘충분한 역량’과 ‘의욕’이 있어야 합니다.
페이스북의 CEO는 앞으로 5~10년 이내 직원의 50%를 재택근무로 전환할 계획을 선언했습니다. 여기에는 몇가지 조건이 붙어 있습니다. 모두에게 허락하는 것이 아닙니다.‘역량과 성과’를 인정받은 인재에 한하여 ‘사전승인’을 얻은 경우에 허락한다는 방침이죠.
이는, 리모트 상황에서‘다양한 이슈를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누구도 도와줄 수 없는 상황에서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 자기관리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죠.
팀장님들을 위한 ?Tips | 리모트워크 대상자 선정 기준
팀장은 리모트 워크 대상자를 선정할 때, 다음의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리모트 상황에서업무추진이 가능한 직무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중요한 시스템이나 설비 등이 회사에 있다면, 리모트 워크는 어렵습니다.
둘째,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직무와 과업에 대해서 ‘독립적 업무수행’이 가능한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팀장이나 선배의 지시아래 일을 추진하는 경우는 ‘효율적 리모트 워크’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긴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면, 예외적으로 승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 구성원의 근무태도가 양호한지 판단해야 합니다. 팀장의 지시와 감독이 없더라도, 스스로 시간과 품질 수준을 맞추기 위해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구성원이어야 합니다. 리모트 워크 상황의 경우,‘업무몰입’ 수준에 따라서 성과차이가 매우 크다는 점을 염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