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의 입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상사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업무수행의 방향에 대한 지도와 조언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불안합니다.
?‘내가 이렇게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과연 팀장님께서는 알기나 하실까?’
리모트 상황에서의 업무수행은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다!
지난해 6월부터 환경변화로 인해 1년 동안 리모트워크를 실시해 온 A사의 경우, PSI 설문조사결과 ‘리모트 상황에서의 업무수행 생산성’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코로나 이전 상황으로 회복되어도 ‘리모트 워크’를 병행할 것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리모트 워크가 불가능한 ‘극소수의 직무’를 제외하고는 ‘전면 적용’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습니다. 결국, 리모트 워크는 리더와 구성원 사이의 긴밀한 신뢰관계가 형성된다면, 충분히 효과도 있으며 지속가능한 것이죠.
리더들에게는 어떤 스킬이 필요할까?
업무적 소통의 명확성과 신속성을 높이기 위한‘스킬과 협업도구 활용 능력’ 향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무엇보다, ‘불안한 상황에 심리적 안전감’과 ‘소속감과 팀워크’ 등의 연대의식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말했습니다.
팀장님들을 위한 ?Tips | 심리적 안전감을 위해 예측가능성을 높여라
구성원의 불안한 상황을 고려해,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기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예측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죠. 언제나 팀장이 약속한 것은 ‘명확하고 확실’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특히,중요한 정보를 제때 공유하는 것과 명확한 기대치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진 과정에서팀장의 업무일정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이죠. 구글 또는 MS Teams 등의 플래너를 공유하는 것도 좋습니다. 업무추진 상황에 구성원의 질문을 격려하고, 신속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